Products
Our Innovations
제품 소개
바이오디젤
🌍 개요
🌍 환경 개선 효과
🌍 용도
바이오디젤은 동·식물유 등 천연 유지 및 정제유를 원료로 제조하는 친환경 수송 연료로서, 경유를 사용하는 디젤 자동차의 첨가제 또는 대체 연료로서 사용되고 있습니다. 일반 경유와 연료 성능이 유사하고 이산화탄소와 매연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생분해성이 우수하여, 정부의 신재생에너지법 시행령에 따라 친환경 연료로서 바이오디젤 의무 혼합 비율이 확대되고 있습니다.
🌍 환경 개선 효과
• 대기독성물질(air-toxics)과 발암물질(carcinogen)이 적음
• 황산화물 배출 가능성이 없음
• 이산화탄소(CO2)배출을 줄일 수 있음
• 연료내 산소 함유로 완전연소 가능
• 매연(smoke), 탄수화물 입자(particulate)의 배기량이 적음
• SO2, CO 및 방향족 탄화수소(aromatic hydcocarbon)를 포함하고 있지 않음
• 11% (Wt%)의 산소를 함유
• 환경적으로 안전한 생물분해성
• 황산화물 배출 가능성이 없음
• 이산화탄소(CO2)배출을 줄일 수 있음
• 연료내 산소 함유로 완전연소 가능
• 매연(smoke), 탄수화물 입자(particulate)의 배기량이 적음
• SO2, CO 및 방향족 탄화수소(aromatic hydcocarbon)를 포함하고 있지 않음
• 11% (Wt%)의 산소를 함유
• 환경적으로 안전한 생물분해성
🌍 용도
자가정비시설과 자가용 주유취급소를 갖추고 관리가 가능한 차량에 바이오디젤 연료유(BD20 – 자동차용 경유 80%와 바이오디젤 20%를 혼합한 연료) 보급
바이오중유
🌍 개요
🌍 환경 개선 효과
🌍 용도
바이오중유란, 동.식물성 유지 및 Oleo Chemical 부산물을 연료 품질에 맞게 정제 가공하여 만든 친환경 발전용 연료입니다.
🌍 환경 개선 효과
석유관리원이 실시한 실증연구 결과, 바이오중유는 중유 사용 시 발생하는 배출가스 중 미세먼지의 주범인 황산화물은 거의 배출되지 않으며 중유(벙커C유) 대비 질소산화물 39%, 미세먼지 28%, 온실가스 85% 저감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.
🌍 용도
• 발전용 신재생 연료
• 산업용 보일러
• 선박 해상유
• 산업용 보일러
• 선박 해상유
글리세린
🌍 개요
🌍 용도
• 바이오디젤 제조 공정에서 생산되는 By-Product
• 화학식 : C3H8O3
• 성상: 끈적거리고 단맛이 나는 고점성 액체
• 화학식 : C3H8O3
• 성상: 끈적거리고 단맛이 나는 고점성 액체
🌍 용도
• 조글리세린 (Crude Glycerine)
↳ 바이오디젤 생산시 발생하는 부산물로 고분자 합성의 원재료 및 보습제, 친환경 비산방지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.
• 정제글리세린 (Refined Glycerine)
↳ 정제된 글리세린은 순도에 따라 페인트 첨가제, 스티로폴 원재료, 화장품, 담배, 식품용(과자등), 계면활성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.
↳ 바이오디젤 생산시 발생하는 부산물로 고분자 합성의 원재료 및 보습제, 친환경 비산방지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.
• 정제글리세린 (Refined Glycerine)
↳ 정제된 글리세린은 순도에 따라 페인트 첨가제, 스티로폴 원재료, 화장품, 담배, 식품용(과자등), 계면활성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.
정제회수유
🌍 개요
정제회수유는 공정을 통해 사용된 기름을 다시 정제한 고품질의 친환경 유지입니다.
🌍 용도
• 산업용 유지
• 바이오디젤
• 공업용 유지
• 페인트 원료
• 절삭유
• 재활용 비누
• 사료용 유지
• 단미사료
바이오플라스틱
🌍 개요
🌍 종류
🌍 환경 개선 효과
플라스틱 제품이 안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유력한 대안 중 하나로, 석유기반 소재에 바이오 소재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.
바이오플라스틱 중 생분해플라스틱의 시장은 2020년 123만 톤 규모에서 2025년 180만 톤까지 성장하며, 연평균 8.0%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.
난분해플라스틱의 경우도 2020년 88만 톤 시장규모에서 2025년 107만 톤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.
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되어 2030년의 바이오 에너지 점유율이 재생에너지의 약 80%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
바이오플라스틱 중 생분해플라스틱의 시장은 2020년 123만 톤 규모에서 2025년 180만 톤까지 성장하며, 연평균 8.0%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.
난분해플라스틱의 경우도 2020년 88만 톤 시장규모에서 2025년 107만 톤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.
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되어 2030년의 바이오 에너지 점유율이 재생에너지의 약 80%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
🌍 종류
• 생분해성 플라스틱
↳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기존의 난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와 달리, 일정한 조건에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, 조류,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이나 분해효소 등에 의해
물과 이산화탄소로 완전히 분해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다양한 원료(바이오매스 또는 화석연료 기반 화합물)로부터 만들 수 있습니다.
생분해성플라스틱은 일반 플라스틱 제품과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으며, 사용 후에는 폐기물을 일정 조건을 갖춘 시설(Compost)에서 퇴비화가 가능합니다.
생분해성 플라스틱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. 우선 지방족 폴리에스터인 polybutylene succinate(PBS), polybutylene adipate-co-terephthalate(PBAT),
polycaprolactone(PCL), polyglycolic acid(PGA) 등은 모노머를 화학 합성하여 얻는 생분해성 고분자들인데, 물성 조절이 용이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.
또한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고분자(microbial biopolymer)가 있는데, poly-β-hydroxybutyrate(PHB), poly-β-hydrolyvalerate(PHV),
그리고 이들의 공중합체인 PHB/PHV 등의 polyalkanoates(PHA)가 여기에 해당됩니다.
천연 물질을 원료로 한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Cellulose, Hemicellulose, Pectin, Lignin 및 저장 탄수화물인 전분 등 식물에서 유래하는 것과
새우, 게 등의 껍질을 포함한 Chitin질을 기초로 한 동물 유래의 것들이 있습니다.
현재 대규모로 상업 생산되고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lactic acid(PLA)는 바이오매스 원료인 옥수수, 전분 등으로부터 발효공정을 거쳐 생산되고 있습니다.
• 바이오매스 플라스틱
↳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기존의 화석연료를 활용하는 대신 재생 가능한 식물 유래 자원인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고분자를 합성할 수 있습니다.
바이오매스 원료로부터 다양한 플랫폼 화합물을 얻게 됨에 따라 바이오 폴리우레탄, 바이오 PET, 바이오 poly(ethylene furanoate)(PEF)등이 개발되고 있습니다.
↳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기존의 난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와 달리, 일정한 조건에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, 조류,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이나 분해효소 등에 의해
물과 이산화탄소로 완전히 분해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다양한 원료(바이오매스 또는 화석연료 기반 화합물)로부터 만들 수 있습니다.
생분해성플라스틱은 일반 플라스틱 제품과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으며, 사용 후에는 폐기물을 일정 조건을 갖춘 시설(Compost)에서 퇴비화가 가능합니다.
생분해성 플라스틱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. 우선 지방족 폴리에스터인 polybutylene succinate(PBS), polybutylene adipate-co-terephthalate(PBAT),
polycaprolactone(PCL), polyglycolic acid(PGA) 등은 모노머를 화학 합성하여 얻는 생분해성 고분자들인데, 물성 조절이 용이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.
또한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고분자(microbial biopolymer)가 있는데, poly-β-hydroxybutyrate(PHB), poly-β-hydrolyvalerate(PHV),
그리고 이들의 공중합체인 PHB/PHV 등의 polyalkanoates(PHA)가 여기에 해당됩니다.
천연 물질을 원료로 한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Cellulose, Hemicellulose, Pectin, Lignin 및 저장 탄수화물인 전분 등 식물에서 유래하는 것과
새우, 게 등의 껍질을 포함한 Chitin질을 기초로 한 동물 유래의 것들이 있습니다.
현재 대규모로 상업 생산되고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lactic acid(PLA)는 바이오매스 원료인 옥수수, 전분 등으로부터 발효공정을 거쳐 생산되고 있습니다.
• 바이오매스 플라스틱
↳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기존의 화석연료를 활용하는 대신 재생 가능한 식물 유래 자원인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고분자를 합성할 수 있습니다.
바이오매스 원료로부터 다양한 플랫폼 화합물을 얻게 됨에 따라 바이오 폴리우레탄, 바이오 PET, 바이오 poly(ethylene furanoate)(PEF)등이 개발되고 있습니다.
🌍 환경 개선 효과
• 독성이 없고 지속 가능하며 환경 친화적
• 재생 불가능한 자원 유래 화합물 대체
•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중간체 물질이나 최종제품으로 처리 가능
• 타 신재생 에너지원에 비해 가용량이 매우 큼
• 사용 후 퇴비화 편리
• 재생 불가능한 자원 유래 화합물 대체
•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중간체 물질이나 최종제품으로 처리 가능
• 타 신재생 에너지원에 비해 가용량이 매우 큼
• 사용 후 퇴비화 편리
연구소
🌍 GRI 연구소
지알아이연구소는 주력 제품인 바이오디젤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을 비롯하여 각 종 신원료의 제품화 가능성을 연구하고, 글리세린과 같은 부산물의 고부가가치화 등의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또한, 저급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한 열분해유를 이용한 바이오플라스틱과 바이오디젤의 부산물인 저급 글리세린을 이용한 PHA계열의 바이오플라스틱소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.